수행실적
∙ 『문재인정부 자치경찰제 도입, 어떻게 할 것인가?』, 한국행정학회 경찰발전연구회․국회의원 유민봉 공동주최 토론집, 국회 의원회관 7간담회실, 2018. 12. 11.
∙ 『기관 청렴도 향상을 위한 진단 및 전략 수립』, 한국고용정보원 컨설팅 보고서, 한국공공신뢰연구원 보고서, 2017. 12.
∙ 『경찰 직무별 직종 적합성 분석을 통한 경찰직과 일반직간 정원대체 추진방안』, 한국공공신뢰연구원 수행 경찰청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용역보고서, 2017. 10.
∙ 『경찰의 전문경과제 활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방안』, 국회의원 유민봉 2017 국감자료집, 2017. 10.
∙ 『경찰인력 운용의 효율성 강화, 어떻게 할 것인가? 』, 한국행정학회 경찰발전연구회․국회의원 유민봉 공동주최 토론집,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, 2017. 11. 27.
∙ 『경찰 인적자원관리의 전문성 강화방안: 경찰 인력배치, 제대로 되고 있나? 』, 한국행정학회 경찰발전연구회․국회의원 진선미․국회의원 유민봉 공동주최 토론집,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, 2017. 8. 21.
∙ 『차기정부 경찰개혁, 어떻게 할 것인가? 』, 한국행정학회 경찰발전연구회․국회의원 진선미․국회의원 권은희 공동주최 토론집,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, 2017. 3. 22.
∙ 『보건의료분야 청렴생태계 조성을 위한 의약품 투명거래 실천네크워크 윤리경영 교육 교재』, 한국시민교육연합․의약품투명거래실천네트워크 공동주최 교육 교재, 2016. 11.
∙『보건의료분야 청렴생태계 조성을 위한 의약품 투명거래 실천네크워크 출범식‧설명회』, 국회의원 전혜숙, 한국시민교육연합․의약품투명거래실천네트워크 공동주최 토론집, 국회 헌정기념관, 2016. 9. 29.
∙ 『의약품 투명거래 실천네크워크의 구성과 운영방안』, 한국시민교육연합․의약품정책연구소․한국공공신뢰연구원 공동주최 토론집, (주)지오영 대강당, 2016. 8. 23.
∙『의약품 청렴생태계 조성을 위한 한국사회의 과제』, 한국시민교육연합 주최 토론집, 국회 의원회관 세미나실, 2016. 6. 15.
∙ 「복합경계신도시의 협력적 관리. 운영 방안 연구: 위례신도시 공공서비스 운영 가이드라인 및 도시관리기구 설립을 중심으로: 치안. 소방분야,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, 2014. 8. 30.
∙ 「서산시 한시기구 연장 등을 위한 2014년도 조직진단」. 충남 서산시 발주 한국공공자치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, 2014. 9.
∙ 「당진시 2020 종합발전계획」. 충남 당진시 발주 한국공공자치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, 2014. 2.
∙ 「2013년 반부패 경쟁력 평가」. 국민권익위원회 발주 EK윤리지식연구소 수행 연구용역보고서, 2013. 12.
∙ 「기초자치단체 공무원 직급체계 개선방안 연구」. 전국기초자치단체공무원노동조합연맹 발주 한국공공자치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, 2013. 12.
∙ 「홍성군 2025 중장기 발전 종합계획」. 홍성군 발주 한국공공자치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, 2013. 10.
∙ 「복합경계지역의 효율적 관리운영 방안」. 한국토지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연구용역보고서, 2013. 12.
∙ 「고품격 치안서비스 제공을 위한 경찰 직급구조 개선방안」. 경찰청 발주 한국행정학회 연구용역보고서, 2012. 12.
∙ 「경찰 수사경과제 운영실태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2. 6.
∙ 「경찰의 범죄안전지수 측정 지표체계 개발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1. 12.
∙ 「경찰 복지정책의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1. 6.
∙ 「경찰 계급별 인력구조의 중장기적 개선방안: 정원산정 진단 기법 적용을 중심으로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0. 6.
∙ 「지역치안협의회 운영성과의 실증분석을 위한 평가모형 개발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0. 9.
∙ 「경찰 조직문화 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10. 12.
∙ 「시·도 교육청 청렴도 평가 민간기관 위탁방안에 관한 연구」. 교육과학기술부 연구용역보고서, 한국투명성기구, 2010. 9.
∙ 「교장 직무수행의 투명성·청렴성 제고방안」. 교육과학기술부 발주 한국교원대학교 수행 사이버강의 교육교재, 2010. 4.
∙ 「지방행정체제 개편에 따른 자치경찰제 도입방안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9. 12.
∙ 「경찰윤리 교육훈련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방안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9. 12.
∙ 「경찰관직무집행법상 손실보상제도 신설시 정당한 보상에 대한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9. 9.
∙ 「재산등록 및 취업제한제도 개선방안」. 행정안전부 연구용역보고서, 2009. 6.
∙ 「경찰 감사시스템의 개선방안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9. 6.
∙ 「경미 저작권 침해행위 비범죄화 및 비친고죄화 방안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8. 12.
∙ 「지역사회 다기관 치안협력 네트워크 구성방안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8. 12.
∙ 「경찰 관서별 청렴도 평가모델 개발 및 조사설계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8. 12.
∙ 「경찰공무원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및 평가모형 개선방안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8. 4.
∙ 「뉴거버넌스 시대의 경찰발전 패러다임과 신뢰행정 구현방안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, 2007. 12.
∙ 「정부평가의 이해와 실제」. 도서출판 대영문화사, 2007. 4.
∙ 「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메뉴얼」. 한국사회복지사협의회, 2007. 5.
∙ 「반부패 청렴정책 성과의 거시적 분석 및 지표 개발」. 국가청렴위원회, 2007. 2.
∙ 「2006년 부패방지시책 평가결과」. 한국행정연구원․국가청렴위원회, 2006. 12.
∙ 「문화관광부 청렴도 제고를 위한 대책 연구」. 문화관광부, 2006. 12.
∙ 「행정기획실무」. 서울디지털대학교, 2006. 3.
∙ 「행정조직론」. 서울디지털대학교, 2005. 9.
∙ 「행정자치부 중장기 청렴도 제고방안」. 행정자치부, 2006. 9.
∙ 「2005 자치구 반부패시책 평가」. 서울특별시, 2005. 12.
∙ 「지방자치단체 제도개선 시범사업 평가」. 국가청렴위원회, 2005. 12.
∙ 「경찰관서 청렴도 측정 모델 개발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, 2005. 12.
∙ 「행정부패측정모형의 설계와 평가-행정부패 수준의 시계열적 평가 및 부패통제 전략」. 서울시립대학교 출판부, 2005. 10.
∙ 『지방공공서비스의 성과평가 -지방공공의료기관의 조직운영형태별 성과분석』. 한국학술정보(주) 단행본 출간, 2005. 10.
∙ 「2004년도 자치구 부패방지시책 평가모형 개발과 평가」. 서울특별시, 2005. 3.
∙ 「경찰분야 부패방지 시민참여 실천방안 연구」. 부패방지위원회, 2004. 12.
∙ 「선진 각국의 경찰부패방지제도에 대한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연구소, 2004. 12.
∙ 「공직자재산등록심사제도 효율성 평가 및 개선방안」. 부패방지위원회, 2004. 3.
∙ 「서울시 반부패지수(ACI) 개선방안」. 서울특별시 감사관실, 2004. 3.
∙ 「부패방지전략의 새로운 패러다임: 한국행정부문」. 서울: 진언사, 2004. 3.
∙ 「경찰 연구기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」. 경찰대학 치안연구소, 2003. 10.
∙ 「한국 행정체계의 부패특성과 전략적 대응방안」. 학술진흥재단, 2003. 9.
∙ 「각국의 부패행위 신고자 보호보상제도에 관한 비교연구」. 부패방지위원회, 2002. 10.
∙ 공저. 「부패행위 신고자 보호 및 보상제도에 관한 연구」. 국무총리실 반부패특별위원회, 1999. 12.
∙ 2003.~현재 중앙공무원교육원, 서울특별시공무원교육원, 강원도지방공무원교육원, 전라북도교육연수원, 남양주시, 서울특별시 광진구, 서울소방방재본부, 국립중앙도서관, 인천세관, 경기지방경찰청, 경기북부병무청, 구미세관, 중앙소방학교, 은평구청, 양주시, 김포시, 여주시, 인천공항세관, 인천해양경찰서, 안성교육청, 경기도청 등 다수 정부공공기관 교육
∙ 2013~현재 미래창조과학부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, 방송통신위원회, 경찰청, 관세청, 소방방재청, 법무연수원, 전남교육연수원, 한국수자원공사, 대한지적공사, 국민건강보험공단, 한국환경공단, 근로복지공단, 산림조합중앙회,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, 한국산업기술진흥원, 경기신용보증재단, 한국고용정보원,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 외 다수 청렴 및 윤리경영 교육
∙ 2003~현재 한국도로공사, 건설공제조합 건설경영연수원, 전자부품연구원, 롯데기공(주), 신성건설, 죽암그룹, 우주건설 등 '윤리경영' 교육